사용자 리서치
1. 필요성
a. ux 관점에서는 성공적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리서치 설계, 분석 능력 중요
b. 다양한 기법의 리서치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
2. 사용자의 태도와 행동
a. 자료 출처에 따라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가, 사람들이 어떤말을 하는가 분석
b. 접근 방식에 따라 정량적 분석이 가능
c. 행동 측정은 아이트랙킹, 뇌파측정기 등의 다양한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 가능
d. 사용자의 응답은 불확실한 면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응답에 의존해서는 안됨
사용자 조사 방법
1. 목적
a. 사용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b. 사용자 모델링
2. 정성적 조사
a. 관찰법, 면접 조사법, 심층 조사법
b. 사용자를 직접적으로 조사
c. 사용자가 진짜 원하는 무엇인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것
3. 정량적 조사
a. 수나 통계를 이용한 서베이
b. 아이트랙킹 이용한 조사
c. 몇 %의 소비자가 어떤 제품에 대한 어느 정도의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4. 정성적 평가 -> 서베이 디자인 -> 정량적 평가
5. 정량적인 평가
a. what(무엇)이라는 정보를 줄 수 있음
b. fact
c. 전반적인 상황이나 수치 데이터를 이용해서 이해 관계자를 설득
6. 정성적인 평가
a. why(왜)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음
b. insight
7. 정성적 조사 방법
a. 일지 연구
가. 사용자에게 일정 형식의 일지를 제공하고, 사용자 스스로 수행하는 일이나 생각, 감정, 접하게 되는 매체 등을 기록
b. focus group interview
가. 사례관리 도구 개발을 위한 방법
나. focus group: 주제와 관련된 공통된 구성원
다. 구성원 수: 연구주제와 관련된 인원
라. 장점
- 저 비용
- 시너지 효과
마. 단점
- 대표성이 떨어짐
- 사회에 영향을 받음
c. 개별 심층 면접
가. 1:1 면접
나. interaction에 의해 진행
다. 개방적, 대화적 형식
d. 라이프스타일 분석
가. 소비자의 생활양식에 의한 시장 세분화
나. 동일한 인구통계적 집단 내에서도 더 세분화하여 진행
다. 특정 사회계층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을 위해 사용
라. AIO 분석
- activity
- interest
- opinion
마. 시나리오 분석
- 제품 아이디어 발상 및 기회 포착
- 완제품의 사용 환경, 기술, 목적
-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과정을 정밀하고 논리적으로 다듬어사사용
바. 시나리오 구성 방법
- 귀납적 방법: 데이터들을 순서대로 분석
- 연역적 방법: 시나리오에 대한 전체 프레임을 만들고 수정 보완
사. 관찰법
- 문화인류학에서 쓰던 방법
- 인간과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위의 환경 요소 고려
아. 투사/투영기법
- 응답 안에 숨겨진 감정, 의미, 동기 탐색을 목적으로 함.
자. 설문조사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적 집단을 조사
차. 웹 로그 분석
- 홈페이지 방문자들이 남긴 로그를 분석
사용자 분석
1. 사용자는 어떤 목표 및 의도를 가지고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욕구를 가짐
2. 목적
a. 사용자 욕구, 인지적 특성 등을 활용해 기술 시스템 설계
b. 학습 어벗이도 쉽게 사용이 가능해야 함.
3. 사용자 종류
a. 주사용자: 스스로 정보를 얻는 사람
b. 부사용자: 실제로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지만 주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거나 바등ㅁ
c. 구매자로서 사용자: 구입하는 과정에서 결정권 행사하는 집단
d. 관리자로서 사용자: 조직의 일을 관리하는 집단
e. 대리 사용자: 사용자를 대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용자
4. 결과물
a. 이야기와 스토리보드
b. 페르소나
가. 사용자 유형 프로필을 보여줌
나. 다양한 사용자 유형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
다. 어떤 전형적인 인물이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예측
c. 시나리오
가. 제품이 어떻게 사용될지 생각할 수 있게 도와줌
d. 콘셉트 지도
가. 콘셉트를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
나. 관계 및 방향 제시
e. 시스템 지도
가. 시스템이 포함하고 있는 대상들, 구조와 수준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
f. 프로세스 플로
g. 프로토 타입
사용자 모델링
1. 한 시스템이 자신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목적으로 사용자의 독특한 행동을 파악해 나가는 과정
2. 사용자 모델 = 맨털 모델
3. 맨털 모델링
a. 패턴을 모두 포괄하는 하나의 모델로 정의
4. 사용자 모델링
a. 사용자일지를 추출하여 모델링하는 작업
b. 특정 사용자를 페르소나라고 함.
5. 페르소나 구현 과정
a. 고객 설문, 사용 후기 등의 자료로 고객의 과거 경험을 파악하고 니즈를 분석하여 가상의 고객 설정
b. 정성, 정량 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해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리서치가 진행되어야 함.
c. 사실에 기바을 둔 사용자 조사 자료를 통해 얻어진 것이기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라는 사실을 늘 인지하고 있어야 함.
d. 다양한 요구사항을 고려해 한 제품, 서비스에 대해 하나 이상의 페르소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지해야 함
e. 조사자 뜻에 맞게 자료를 재구성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 마지막까지 오염되지 않는 페르소나를 뽑아내는 것이 중요함.
프로토타이핑
1. 시스템의 미완성 버전 또는 중요한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의 초기 모델
2. 계속해서 지속 보완됨
3. 형태
a. 실험적 프로토타입
가. 실제 개발될 제품군을직접 개발해 요구사항 검증
b. 진화적 프로토타입
가. 요구 분석 도구 활용 및 개발된 프로토타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최종 제품 개발
4. 과정
a. 원형 프로토 타입
가. 요구사항 수집
나. 설계
다. 개발
라. 고객 평가
마. 프로토타입 정제
바. 반복
5. 장점 vs 단점
a. 장점
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아이디어를 스케치함
나. 다양한 사람의 참여와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
b. 단점
가.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이 단점으로 부각될 수 있음
나. 시스템의 문서화 과정이 지나치게 축소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
다. 프로토타이핑을 할 때 그 범위를 정하는 것이 모호함.
'Other Study > UX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UX를 이용한 비즈니스의 미래 (0) | 2018.09.17 |
---|---|
03. User 중심 혁신을 위한 전략적 개념 (0) | 2018.09.17 |
02. User와 소통하는 인터렉션 디자인 (0) | 2018.09.16 |
01. User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연구 (0) | 201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