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이해의 중요성
1. 휴대폰은 현재 사용자의 가치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된 것을 보여준다.(성공 및 실패 등)
- 사용자에게 얼마나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가
2. 제품을 통해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호흡하며, 새로운 가치 창출이 필요
HCI: 인간과 컴퓨터 시스템의 상호작용 방법과 절차를 설계하고, 평가 및 구현하는 것
1. HCI 개념
a.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가 연구하는 학문
가. 시스템과 인간과의 상호작용 방법과 절차를 설계, 평가 및 구현
나. 주요 연구분야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사용자 경험
- 상호작용
- 사용성
b. 인간-컴퓨터 상호작용(관계성과, 어울림)을 더욱 풍부하고, 자연스럽게 하는 과학, 기술, 인문학 사이의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음.
2. 기본 목적
a. 컴퓨터를 인간에게 좀 더 쉽고 유용하게 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것
b. 특정 제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고 사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
가. flow: 어떤 행의에 몰입해서 시간, 공간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생각까지도 잊어버리는 심리적 상태
나. 최적의 경험: 사용자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며 목적을 달성하고, 기술과의 상호작용에서 '주인'의 느낌이 드는 순간
3. 궁극적 목표
a. 잠재력 극대화
가. 인간의 의지를 자유롭게
나. 창의력 증진
다. 의사소통과 협력 증진
b. HCI 전문가
가. 대개 HCI분야에서 개발된 기법들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데 관심이 있는 디자이너
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c. HCI 연구자
가. 새로운 디자인 기법 개발, 새로운, 하드웨어 시험, 새로운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현
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거나 모델이나 이론 개발
4. HCI 현재와 미래 가치
a. 실패의 공통점
가. 사용자와 개발자 간의 인식차이
b. 국내 기업의 인식
가. 대부분 특정 전공이나 특정 배경 경력자들로 구성
나. 다른 분야(부서)의 관리자가 UX분야의 관리를 병행하기도 함.
다. 그래픽 디자이너, 웹디자인, 소프트웨어 관련 공학 중심의 인력 구성
라. 올바른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음
c. 해외 기업의 인식
가. 인문학을 포함한 다양한 전공자들이 종사
나. 인텔: 소프트-하드웨어 엔지니어와 디자이너, 심리학자, 인류학자들이 가세하여 자양한 관점과 지식융합 도모
다. 구글: 유저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해 인간의 본질적 패턴과 직관을 제품개발에 반영(구글 스트리트 뷰 등)
d. 빌 모그리치
가. 인간가치 중심의 새로운 틀: 다양한 전공과 배경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팀으로 모였을 때, 학문 간의 지식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상적 디자인 혁신이 구현
나. HCI나 UX는 모두 포괄적 개념
e. 도널드 노만
가. Design without Designers
나. 진정한 휴먼 디자인은 특정 집단에 의해, 그들의 전문적 지시겡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상식적 수준의 보편적 인간들을 위한 디자인
f. Design
가. 사용자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
g. designer
가. 사용자가 속한 Context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추구하는 휴머니스트
h. 사용자 중심의 경영 전략
가. 구글: 소비자가 아닌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판다.
나. 애플: 우리의 성공 비결은 광번위한 사용자 기반에 집중
다. 에런 샤피로: 성공가도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이 사용자에게 집중
라. 성공
- 앵그리버드: 단순한 구성, 간단한 조작 방법, 위트 있고 직관적인 캐릭터
- 페이스북: 표준화 인터페이스, 사용자에게 방해되는 요소 제거, 편의성을 위한 개방형 플랫폼
마. 실패
- myspace: 폐쇄적인 개인 홈페이지 구축, 홈페이지를 꾸미는 기교적
바. HCI의 비즈니스적 가치
- 사용자 니즈에 발 빠르게 대응
- 차별화되는 강력한 사용자 경험 창조
- 사용자 중심의 경영 전략
HII: 인간과 정보의 상호작용, 즉 다양한 기기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 개체를 검색하고, 관리, 처리 및 활용하는 활동
1. 등장 배경과 개념
a. 다양한 기기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검색, 관리, 처리, 활용하는 활동
b. 나흠 거숀에 의해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설계에 관한 이론으로 최초 소개
c. 라야 피델에 의해 인간과 정보의 상호작용 방법 및 정보처리에 관한 연구로 개념 재정립
2. 주요 연구
a. . 인간의 인지작용
가. 지각
- 인간의 오감
나. 인지
- 인식, 기억, 추리, 비교, 판단을 통한 정보이해
b. 정보구조
가. 사용자의 인지구조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구조와 동일
나.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전제
다. 사용성, 접근성 최적화를 위한 정보 체계를 구축
3. 사용자의 인지모델
a. 스키마 이론
가. 지식은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된 지식구조를 형성, 사용자의 선험적 지식에 의해 새로운 정보를 해석, 저장
나. 스키마
-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경험의 총체
- 체계적, 조직적으로 저장된 지식 구조
b. 도메인 이론
가. 문제의 범위를 하위 도메인으로부터 주어진 조건을 인도하여 감각, 지각, 주의, 기억, 의사결정을 이끄는 원칙
나. 도메인
- 어떤 이름에 의해 인식되는 지식의 범위로 Domain specific 과정을 통해 직무처리에 효과를 미침
- 지식의 표상은 Target Domain 정보와 관련된 요구를 포함하고 창조적인 인지형성을 위해 미리 준비된 것
- 정보검색은 내부적인 사건의 행동 유발에 대한 적당한 영감에 의해 착상을 자각하게 됨
c. 활성화 확산 이론
가. 어떤 생각이 활성화되거나 인지의 중심부에 이르게 되면 활성화가 연상적 통로를 따라 다른 마디로 확산되는 것
나. 링크를 통해 인지 활성 개념
다. 의미망 강도는 근접성, 유사성 등에 영향
라. 점화효과
- 활성화된 개념이 나중에 제시되는 생각을 떠올리는 데 영향을 주는 현상
- 기존의 기억재생요소가 활성화되어 접근성 향상
4. 정보구조
a. 개념: 정보의 분류 -> 정보의 설계
b. 목적: 복잡한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쉽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
c. 사회적으로 복잡하지고 방대해질수록 그 중요성 커짐
d. 다양한 의미
가. 정보 체계의 조직화, 네비게이션, 레이블링
나. 콘텐츠 접근과 업무 처리가 용이하도록 정보공간 설계
다. 웹사이트 및 인트라넷의 분류 및 구조화
라. 디지털 세계의 구조화 및 이와 관련한 커뮤니티
e. 중요성
가. 빅데이터 출현
- 양질의 정보 구분 및 적시적소 활용
-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구조화 및 프레임화하는 것이 필요
나. 디지털 정보환경의 고도화
- 인지과정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음
- 인지요소를 반영한 정보시스템 설계가 요구됨
다. 점차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음.
f. 요소
가. 정보분류/조직화
나. 네비게이션
다. 레이블링
라. 검색
g. 설계
가. 사용자가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구조화한 프레임워크(정보의 뼈대)를 만드는 작업
h. 설계 과정
가. 정보 체계화: 서로 관련이 있는 콘텐츠끼리 묶는 작업
나. 콘텐츠 구조화: 콘텐츠 그룹간의 상하, 좌우, 수평, 수직 관계를 형성하는 작업
'Other Study > UX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UX를 이용한 비즈니스의 미래 (0) | 2018.09.17 |
---|---|
04. User 이해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 (0) | 2018.09.17 |
03. User 중심 혁신을 위한 전략적 개념 (0) | 2018.09.17 |
02. User와 소통하는 인터렉션 디자인 (0) | 201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