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성진이는 한 도시의 시장인데 거지라서 전력난에 끙끙댄다. 그래서 모든 길마다 원래 켜져 있던 가로등 중 일부를 소등하기로 하였다. 길의 가로등을 켜 두면 하루에 길의 미터 수만큼 돈이 들어가는데, 일부를 소등하여 그만큼의 돈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어떤 두 집을 왕래할 때, 불이 켜져 있지 않은 길을 반드시 지나야 한다면 위험하다. 그래서 도시에 있는 모든 두 집 쌍에 대해, 불이 켜진 길만으로 서로를 왕래할 수 있어야 한다.
위 조건을 지키면서 절약할 수 있는 최대 액수를 구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분되어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집의 수 m과 길의 수 n이 주어진다. (1 ≤ m ≤ 200000, m-1 ≤ n ≤ 200000)
이어서 n개의 줄에 각 길에 대한 정보 x, y, z가 주어지는데, 이는 x번 집과 y번 집 사이에 양방향 도로가 있으며 그 거리가 z미터라는 뜻이다. (0 ≤ x, y < m, x ≠ y)
도시는 항상 연결 그래프의 형태이고(즉, 어떤 두 집을 골라도 서로 왕래할 수 있는 경로가 있다), 도시상의 모든 길의 거리 합은 231미터보다 작다.
입력의 끝에서는 첫 줄에 0이 2개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한 줄에 걸쳐 절약할 수 있는 최대 비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7 11
0 1 7
0 3 5
1 2 8
1 3 9
1 4 7
2 4 5
3 4 15
3 5 6
4 5 8
4 6 9
5 6 11
0 0
예제 출력 1 복사
51
풀이
전체 가로등 중에서 최소한의 가로등만 켜서 전력을 아껴야 하기 때문에, 최소 스패닝트리(MST)를 구해서, 전체 길의 길이 - MST를 구성하는 길의 길이 를 구하면 갑이 수해진다.
MST를 구하는데는 크루스칼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한다.
1. edge 가중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2. 가장 작은 가중치의 edge부터 확인하여, 양 끝 점이 이미 연결되어있는지 확인 후 아니라면 이어준다.
3. 선택된 edge의 갯수가 전체 node - 1이면 종료한다.
마지막에 0 0 이 들어오기전까지 반복 꼭 체크
코드
package test6497;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parent;
static int M; // 집의 수
static int N; // 길의 수
static int[][] edges; // edge 입력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MyScanner sc = new MyScanner(System.in);
while (true) {
M = sc.nextInt();
N = sc.nextInt();
if (M == 0 && N == 0) {
return;
}
edges = new int[N][3];
int total_cost = 0;
for (int i = 0; i < N; i++) {
edges[i][0] = sc.nextInt();
edges[i][1] = sc.nextInt();
edges[i][2] = sc.nextInt();
total_cost += edges[i][2];
}
Arrays.sort(edges, (a, b) -> a[2] - b[2]); // 간선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
parent = new int[M + 1];
for (int i = 1; i <= M; i++) {
parent[i] = i;
}
int min_cost = 0;
int selected_cnt = 0;
int i = 0;
while (true) {
if (find(edges[i][0]) != find(edges[i][1])) { // cycle이 아니면
union(edges[i][0], edges[i][1]);
min_cost += edges[i][2];
selected_cnt++;
}
if (selected_cnt == M - 1) {
break;
}
i++;
}
System.out.println(total_cost - min_cost);
}
}
public static int find(int idx) {
if (parent[idx] == idx) {
return idx;
}
parent[idx] = find(parent[idx]);
return parent[idx];
}
public static void union(int a, int b) {
int parent_of_a = find(a);
parent[parent_of_a] = b; // 주의,,, a의 parent를 b로 바꿔야 a가 b랑 합쳐지는 것!
}
static class MyScanner {
final BufferedReader reader;
final BufferedWriter writer;
static StringTokenizer tokenizer = null;
MyScanner(InputStream in) {
reade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in));
writer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
String nextToken() throws IOException {
if (tokenizer == null || !tokenizer.hasMoreTokens()) {
tokenizer = new StringTokenizer(reader.readLine());
}
return tokenizer.nextToken();
}
int nextInt()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return Integer.parseInt(nextToken());
}
long nextLong()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return Long.parseLong(nextToken());
}
void close() throws IOException {
reader.close();
writer.close();
}
}
}
참고
크루스칼 알고리즘
union-find 알고리즘
'Algorithms > 2023 Pro 시험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42 - 구간합 구하기 백준 (0) | 2023.07.07 |
---|---|
27498 백준 연애 혁명 (0) | 2023.07.04 |
1647- 도시분할 계획 (0) | 2023.07.04 |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큰 직사각형 - 백준 6549 (0) | 2023.05.24 |
구간 합 구하기 백준 2042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