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block Chain
- bitcoin의 핵심 기반 기술
- 만병통치약은 아님
2. 비트코인을 쓴다, 보낸다
- 인터넷 뱅킹의 계좌 이체와 동일한 개념
- 비트코인은 실명 계좌 확인이 없으며, 익명성이 보장된다.
- 공인인증서와 기술적으로 동일한 매커니즘 적용(공인인증서와 완전히 같지는 않음)
- 전자 서명을 통해 이체 성립
3. 블록체인 합의 기술
- 불록 + 체인 + 합의
a. 블록: 장부의 한 페이지, 비트코인의 거래 기록으로 한 페이지씩 생성된다(10분마다 1페이지씩 생성)
b. 체인: 장부의 각 페이지를 연결시켜주는 것을 말함(책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보면 됨, 해쉬 함수 기술 활용)
4. 장부들이 연결 장점
a. 수정을 할 수 없으므로 위변조 불가능하다
b. 개별 사용자 PC에 저장되므로 투명성이 극대화됨
c. 개별 사용자 PC에 저장되므로 가용성 확보: 은행에다가 저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은행에 문제가 생겨도 개별사용자가 들고 있어서 한 캐쉬가 망가져도 다른 사용자 캐쉬 이용할 수 있음)
5. 서로 다른 데이터가 올라오는 경우?
a. 합의 과정 필요
b. 블록체인 합의 과정 원칙: 옳다고 생각하는 체인 뒤에 줄을 서라
c. 새 장부를 만드는 경우 기존에 있는 장부와 동일할 경우 이어 붙여서 전파(다른 사용자들에게도 그대로 전파, 위의 장점 전부 확보됨)
d. 공유된 장부의 내용이 달라지는 경우 구성원간 합의가 필요, 이 뒤에 장부는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장부 뒤에 이어 붙임
- 계속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중간에 끊긴(합의가 되지 않은) 블록들이 생김, 이경우 무시
6. The Longest chain rule
a. 유효한 장부는 대다수(>50%)의 합의가 모인 (가장 긴) 블록
b. 블록체인은 slow payment에서 사용 추천, 이유: 어떤 장부가 옳은 것인지 판단(5~6개 장부 줄, 50분 정도)하는데 걸리기 때문이다.
- Slow payment: 돈을 지불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야 상품 확인 가능
- fast payment: 돈을 지불한 후 즉시 확인
7. 채굴(Proof of Work(작업 증명, PoW)
a. 참가자가 일을 하고 그에 대한 보상(reward)를 받는 것
b. 해커가 다수의 가짜 계정을 만들어서 허위 장부를 만들어서 기존에 유효했던 옳은 장부를 바까버리는걸 만들수 있음. 이를 막아야 함.
c. 이를 해결하기 위해 CAPTCHA 코드와 같은 암호퍼즐을 풀게함.(어렵게, 최소 10분 정도 걸림)
d. 해커가 허위 계정을 만들어서 허위 장부를 만들려면 100개의 암호퍼즐을 풀어야함(시간 엄처 오래 걸림)
e. 100명의 사용자가 100개의 장쵸플 만드는 속도 > 1명의 해커가 100개의 허위 장부를 만드는 속도 => Sybil Attacks(평판도 조작)문제 해결 가능
f. 블럭체인 장부
- 블록체인의 페이지 번호
- 앞 블럭의 페이지 번호
- 10분동안 발생한 계좌이체 내역(코인 이동, 전자 서명 포함)
- 암호퍼즐 해결 인증 번호
g. 장부를 만들어서 최초로 공개하는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줌(최초에는 50비트코인을 줌, 현재는 아님)
- 장부를 계속 만들다 보면, 인플레이션이 일어날 수 있어 4년마다 인센티브를 2분의 1로 줄이고 있음
- 2140년 5월 7일경 쯤 모든 비트 코인이 생성될 예정(최종에는 약 2천1백만개)
- 더이상 비트코인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장부를 안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수수료"개념을 제안: 수수료로 장부를 만드는 사람에게 제공
8. 블록체인 종류
a. public blockchain
- bitcoin, ethereum, litecoin 등
- 모든 사람이 장부를 만듦
- 합의를 통해 좋은 장부를 선정
- 보상 받음
- 직접 민주주의 시스템
b. private blockchain
- Componey internal
- 사용자가 매우 많은 경우 해결하기 위해 생성
- 장부는 하나의 기관에서 생성
- 열람은 누구나
- 어느정도의 독재 시스템
- 대부분 이거 사용
c. Federated blockchains
- 32, B3I, EWF 등
- 장부는 지정된 몇개의 기관에서만 생성
- 열람은 누구나
- 간접 민주주의
'Technology > 블록체인(Block 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0) | 2018.08.13 |
---|---|
블록체인의 활용 사례 (0) | 2018.08.13 |
4차 산업혁명에서 블록체인이 중요한 이유 (0) | 2018.08.13 |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이 당면한 문제 (0) | 2018.08.12 |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란 (0) | 2018.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