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부분합 특정 구간 상의 합을 구할 때 필요한 구간의 합을 구하게 되는 경우 일일이 for문을 계산하기 때문에 10만이 넘는 경우 계산을 하는 시간이 많아져 많은 연산으로 인한 timeover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input 값이 들어올때 바로바로 계산을 해서 저장을 하게 되면 이 문제는 해결이 된다. input 12 3 2 4 2 1 5 1 sum 12 15 17 21 23 24 29 30 이때 2~5번까지 의 sum을 구하기 위해서는 단 1번의 연산만 시행을 하면 된다. 5번 합 - 1번 합 = 11 단 1번의 계산으로 성립이 되기 때문에 0(1)로 성립이 가능하다. 구간의 합이 0에 가까운 구간을 찾기 위해서는 구간 합의 변화가 0에 가까운 것을 찾으면 된다. 세..
1. Create Reactive App 설치npm 이용 설치npm install -g create-react-appcreate react app 이용 project 생성create-react-app foldername(주의: 만약 create-react-app 실행시 module path 못찾는 오류 발생시 2. 실행해당 folder 접속 후 yarn startreact welocome 페이지가 뜨면서 정상적으로 실행됨 3. React의 특징선언형(declarative) 개발Component 기반의 SoftwareLearn Once, Write AnywhereServerSide Rendering
· Tools/Atom
Atom 설치1. Atom 설치는 다음과 같은 사이트에서 설치 한다. https://atom.io 2. Atom은 현재 windows, linux, mac 전부에서 설치 가능하다.3. .Net Framework가 설치 안되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 같이 설치해준다.4. Atom 설정1. theme 설정- 왼쪽에서 Themes에 들어가서 설정할 theme선택해서 theme 설정 Atom Cheat sheetGeneral ctrl + , Settings ctrl + shift + pToggle command palette ctrl + alt + r reload atom ctrl + shift + m markdown preview ctrl + . toggle key binding resolver ctrl + al..
Compa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들은 검색하거나 최대/최소치를 계산하거나 정렬을 하기에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compareTo 구문은 equals와 비슷함.비교 불가능한 자료형인 경우 ClassCastException을 발생시킴.compareTo의 경우 equals 규약과 마찬가지로 반사성, 대칭성, 추이성을만족해야 함.
Cloneable은 어떤 객체가 복제(clone)을 허용한다는 사실을 알리는데 쓰려고 고안된 인터페이스다.1. clone된 객체와 기존 객체는 같이 말아야 한다.2. clone의 class 명과 기존 객체의 class 명은 동일해야 한다.3. clone한 객체의 값과 기존 객체의 값이 같을 수도 있지만 별도의 조작을 한 경우 다를 수 있다. 비 final class의 clone 재정의시 super.clone을 호출해 얻은 객체를 반드시 반환해야 한다.Clonable을 상속받은 class는 제대로 동작하는 public class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클라이언트에는 최소환의 로직만 노출 시켜야 한다.(로직은 라이브러리 내부에서 수행되게 한다.) 객체 복사를 지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복사 생성자나 복사 팩..
toString을 잘 만들어 놓으면 클래스를 좀 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toString 메소드 내부에 각 객체의 중요 정보드르을 전부 담아서 반환을 하는 것이 좋다.따라서 toString 메소드 안에 객체의 중요 정보들이 들어갈 수 있도록 재정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equals 매서드를 재정의하는 클래스는 반드시 hashCode 메서드도 재정의해야한다. 같은 객체는 같은 hashCode를 가져야 하는데 equals가 재정의 되는 경우 이를 위반하게 된다.이 때 중복 코드는 따로 재정의할 필요 없다.(알아서 ㅊ
equals 메소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따라야 하는 것1. == 연산자를 사용하여 equlas의 인자가 자기 자신인지 검사.- 맞다면 반드시 true를 반환하게 할 것2. instanceof 연산자를 사용하여 인자의 자료형이 정확한지 검사.- 정확하지 않다면 반드시 false를 반환 (Collection class에서 많이 사용)3. equals의 인자를 정확한 자료형으로 반환- instanceof로 형검사를 했으므로 반드시 성공.4. "중요" 필드 각각이 인자로 주어진 객체의 해당 필드와 일치하는지 검사.- 모두 일치하는 경우 true 반환, 그렇지 않은 경우 false 반환- float나 double의 경우 특별 상수가 붙으므로 별도 검사5. equals 메서드 구현을 끝냈다면, 대칭성, 추이성, 일관..
종료자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고 일반적으로 불필요. java에서 종료자의 단점time-critical한 작업을 종료자에서 사용하는 경우 언제 작업이 종료되는지 확인을 하는 것이 불가능.다른 작업 진행 중에 갑자기 실행되는 경우도 있고 끝까지 종료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음. 중요한 상태 정보의 경우 종료자에서 갱신하면 안됨. 상태 정보를 제거하는 경우 명시적인 종료 메서드를 하나 정의 하고 이를 사용을 하는 것이 좋음(종료자 사용시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음)- try finally 구문을 활용 종료자 사용처1. 명시적 종료 메서드 호출을 잊을 경우 대비하는 안전망으로서의 역할2. native peer와 연결된 객체를 다룰 때 하위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 종료자를 재정의(override)하면서..
플로쨔응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