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ops Visualize: 모바일 및 데스크톱 플랫폼 모두에서 그래픽을 렌더링하도록 설계된 3D 컴퓨터 그래픽 엔진라고 볼 수 있다.
tech3d에서 개발을 하기위한 엔진을 판매하고 있으며 개발자들은 이를 받아서 개발을 할 수 있다. 그래픽 파이프라인 및 상호 작용 처리 알고리즘과 함께 다양한 그래픽 엔티티 처리 가능한 엔진을 제공한다.
Hoops의 엔진은 CAD, CAM, CAE 등을 읽고 렌더링하는데 채택되었으며 이는 데스트톱, 모바일, 웹, 그리고 VR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해당 사이트에서 Hoops 관련 사용에 대해 API로 제공하며 이는 여러 곳에서 활용 가능하다.
react 및 vue에서는 해당 엔진을 사용하기 위해서 html 쪽에 엔진을 import 하고 ui 렌더링 이후의 작업에서 엔진에 관련된 컨트롤들을 진행한다.
react 및 vue에서 생명 주기에 대해 확인을 해야하며 이 생명 주기가 꼬이는 경우 프로그램에 치명적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처음 hoops를 만졌을 때 오류를 발생시킨 적이 있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진행했던 사항을 간단하게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다.
1. Frontend의 기획에 맞추어 전체적인 설계 및 개발
- Zeplin 및 기획 사항들에 맞추어서 Frotend의 기능 개발 범위를 지정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설계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 Frontend 총괄(manager) 및 Main 개발자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화면들을 직접 만들어서 적용하였다.
2. 기 개발된 Component library의 활용
- 촉박한 기간을 해결하기 위해 기 개발되어 보유하고 있던 component들을 활용하여 UI를 일부 변경하고 적용하여 부족한 일정을 줄일 수 있었다.
3. React의 장점중 하나인 외부 library와의 연계
- 외부 library인 hoops를 연계하여 react의 component들로 hoops의 여러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었다.
4. redux와 같은 store의 사용으로 기능 개선 작업
- 처음 개발을 시작했을 때 수만 수십만개의 data를 보여줄 때 store를 사용하지 않아 버벅임 현상을 많이 겪었다. 하지만 이를 pagination과 store를 활용하여 속도적인 면을 많이 개선할 수 있었다.
5. 기획자와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개발을 했던 좋은 경험이었다.
6. 처음으로 Frontend 분야에서 리더를 맡아본 경험이었다.
'Diary > Portfol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y Project - LostArk Project1 (API KEY 발급 받기) (0) | 2023.01.03 |
---|---|
Anyframe UI (0) | 2022.11.14 |
VSCode Extension 개발 (0) | 2022.11.14 |
Tizen Studio Native-UI Builder (0) | 2017.01.22 |